(리플릿) 서울 자치경찰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02
자치경찰에 대해 알아볼까요?
자치경찰과 국가경찰, 더 안전해진 우리 동네 - 자치경찰제는 지역마다 다른 치안 환경에 맞춰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예전에는 전국 어디서나 똑같은 치안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이제는 지역이 필요한 정책을 만들어 실행합니다.
-자치경찰: 생활안전, 교통, 사회적 약자 보호 등 지역 치안 담당
-국가경찰: 강력범죄, 마약 등 국가 치안 담당
(리플릿) 서울 자치경찰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03
서울에 자치경찰이 왜 필요할까요? - 서울은 인구 밀집도와 이동량이 많고, 생활환경이 복잡한 도시입니다. 획일적인 치안 서비스만으로는 서울의 교통 혼잡, 골목길 안전, 사회적 약자 보호 같은 문제에 세심하게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21년부터 ‘자치경찰제’가 도입되었고, 서울도 시민 생활에 꼭 맞는 치안 정책을 만들기 위해 ‘서울 자치경찰’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 자치경찰은 무슨 일을 할까요? - 시민의 일상과 밀접한 치안 분야를 자치경찰이 책임지고 있습니다.
[생활안전]-지역순찰 및 범죄예방 시설 설치·운영 -주민참여 방범 활동 지원 -재난·재해 시 긴급구조 지원 -사회질서 유지 및 경범죄 단속 등
[여성·정소년 보호] -아동·청소년·노인·여성·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 -가정·학교·성폭력 및 예방, 피해자 보호 -가출인·실종아동 수색 -청소년 비행 예방 및 선도 활동 등
[교통안전] -교통법규 위반 지도·단속 -교통안전시설 설치·운영 -교통안전 교육·홍보 -주민참여형 교통안전 활동 지원 등
[다중운집행사 안전] -다중운집행사의 교통 및 안전관리 지원
(리플릿) 서울 자치경찰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04
서울형 치안정책, 무엇이 특별할까요? - 서울 자치경찰은 복잡한 서울의 생활환경에 맞춰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치안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상이 안전한 안심도시 서울]
-밤마다 불안했던 골목길. 범죄예방 환경설계로 가로등 추가, CCTV 설치 등 골목길을 밝고 안전하게 개선
-반려견과 산책하며 순찰하는 이웃, 본 적 있으신가요? 반려견 순찰대, 대학생 순찰대, 러닝 순찰대 등 시민이 함께 지키는 공동체 치안활동 운영
-교통사고가 잦은 이면 도로와 복잡한 교차로. 교통 드론으로 실시간 감시, 지능형 승강기 등 첨단기술로 안전 사각지대 해소 (2025년 하반기 예정)
[약자를 보호하는 동행치안 서울]
-청소년을 지키는 예방 활동. 중독성 범죄(도박, 마약 등) 예방 캠페인과 학교 방문 교육으로 청소년 보호 강화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안전한 보행길. 스쿨존, 노인 보호구역 등 교통약자를 위한 서울형 교통안전 정책 추진
-정신적 위기 상황도 빈틈없이. 보건소·경찰·소방이 함께하는 서울형 대응체계를 운영해 위기 상황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관리
(리플릿) 서울 자치경찰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05
안전한 동네, 우리 손으로 만들어요! - 우리동네 불안한곳? 서울 자치경찰이 함께 해결합니다!
[참여방법]
-시민참여 치안활동 신청
*서울자치경찰위원회 누리집(QR):gov.seoul.go.kr/apc
*서울자치경찰위원회 인스타그램(QR):@seoul_apc
*우리동네 치안 아이디어(개선)제안(QR):https://gov.seoul.go.kr/apc/communication/citizen-policy-proposal
*교통불편 스마트신고(QR):https://gov.seoul.go.kr/apc/communication/traffic-inconvenience-smart-report
자치경찰제, 자주 묻는 질문
Q1.자치경찰제는 자치경찰을 새로 뽑나요? A.아닙니다.자치경찰을 따로 뽑지 않고 기존 국가경찰이 자치경찰 업무도 함께 맡고 있습니다. 국가경찰 업무는 경찰청이, 자치경찰 업무는 시도 자치경찰위원회가 지휘-감독 합니다.
Q2.자치경찰제가 도입되면 치안이 약해지지 않나요? A. 아닙니다. 오히려 지역에 맞는 치안 대응이 가능해져, 주민 안전과 치안 역량이 더 강화됩니다. 생활 밀찰형 치안 서비스도 한층 더 촘촘해집니다.
Q3.112 신고 방법이 바뀌나요? A. 바뀌지 않습니다. 긴급 상황에서는 지금처럼 112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 방문도 예전과 똑같이 이용하실 수 있고, 운전면허 발급, 각종 민원 처리 등 경찰 관련 서비스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리플릿) 서울 자치경찰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06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주소:서울시 무교로21 더익스체인지빌딩
-연락처:02-120
-누리집:gov.seoul.go.kr/apc
-인스타그램: @seoul_apc
-유튜브:@서울자치경찰